Posted at 2007. 9. 12. 09:18 //
in S/W개발/고절가주팁 //
by 김윤수
지난 글에서 로깅 라이브러리를 SourceForge 를 통해 Open Source 로 공개하기로 했다는 걸 알려 드렸습니다. 프로젝트 홈페이지랑 프로젝트 개요 페이지도 생겼다고 말씀드렸었구요.
SourceForge 에 생성된 YSLog 메인 페이지
그런데 막상 SourceForge를 통해 Open Source 로 진행하려다 보니 제가 Open Source 프로젝트 진행에 대해 아는 바가 너무 없어서 약간 헤메고 있었습니다. 이제서야 어느 정도 정리가 돼서 그 동안 정리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SourceForge 를 통해 Open Sourc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기본 Setup 하는 절차입니다.
1. SF.net 계정 생성하기 2. 프로젝트 생성 요청 작성. 3. secure shell 설치 4. Project Home Page 작성 5. Subversion 활성화 6. Subversion Client 설치 7. 초기 소스 코드 import
1. 먼저 계정 생성하는 것부터 설명 드려 보겠습니다. 우선 sourceforge.net 에 접속하시면 오른쪽 위에 Create account 링크가 있습니다. 이걸 누르고 나서 다른 싸이트 비슷하게 이메일과 암호만 집어 입력하면 계정 생성되구요, E-mail 확인 작업이 이루어진다는 것도 다른 싸이트와 비슷합니다. 단지 다른 점이 있다면 다음 그림과 같이 E-mail 확인 작업이 끝난 후 사용자 ID 를 정하는 과정이 있다는 점이 약간 다릅니다.
SF.net 계정 생성 #1
SF.net 계정 생성 #2
SF.net 계정 생성 #3 - 사용자 ID 정하기
2. 이렇게 계정을 생성하고 나서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보내면 됩니다. 다른 건 별로 어려운 것 같지는 않고, 8. Project description details 와 9. Project registration details 이 두 가지가 입력할 내용이 많아서 약간 고민되는 정도입니다. 제일 처음에 로그인을 하고 나면 다음 그림처럼 SF.net 이라는 메뉴에 Create Project라는 메뉴 항목이 있습니다.
SF.net 프로젝트 생성 #1
이 메뉴를 선택하고 나면 다음과 같은 차례로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보낼 수 있습니다.
Overview
Project UNIX Name selection
OSI Open Source Definition agreement
Project type selection
Terms of Use Agreement
Hosting requirements
Trove categorization
Project description details
Project registration details
Project descriptive name selection
Final review
Submission completed
각 단계별로 화면을 캡쳐한 것들을 슬라이드 쇼로 만들었습니다.
012345678910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이렇게 프로젝트 생성 요청을 보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프로젝트가 생성됐다는 메시지가 올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프로젝트 홈페이지를 작성해야 하는데요. 프로젝트 홈페이지는 자신이 직접 shell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html 파일들을 등록해 줘야 합니다. sourceforge 에서 지원하는 shell 은 보안때문에 secure shell 이라는 것을 지원합니다. secure shell 은 기본적으로는 telnet 과 비슷한데 SSL 이라는 기술을 이용해서 주고 받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시키는 shell 입니다.
Project Web Directory (root): /home/groups/P/PR/PROJECTNAME/htdocs
Project Web CGI Script Directory: /home/groups/P/PR/PROJECTNAME/cgi-bin
예를 들어 YSLog 같은 경우 UNIX name 을 yslog 로 했기 때문에 프로젝트 웹 디렉토리는 /home/groups/y/ys/yslog/htdocs 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yslog 같은 경우 아직은 프로젝트 홈페이지에 쓸말이 없어서 그냥 "Under construction" 이라고만 해 두었습니다.
그 다음으로 Subversion 을 활성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Subversion 을 설명 드리기 전에 sourceforge.net 에서는 기본적으로 CVS 라는 소스 관리 툴을 지원하고, 선택적으로 프로젝트 관리자가 Subversion 을 쓸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 CVS 를 이전에 쓰면서 디렉토리 renaming 이 안된다던지, 디렉토리 이동이 안된다던지 하는 문제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한 Subversion 을 쓰기로 했습니다.
Subversion 은 기본으로 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 화면에서처럼 프로젝트의 Admin 메뉴에서 Subversion 을 선택한 후 활성화시켜야 합니다.
Subversion 활성화 메뉴
그리고 난 후, 다음 화면에서 Enable 을 선택하면 Subversion이 활성화됩니다.
Subversion 설정 화면
위와 같이 설정하고 나면 다음 화면과 같이 Code 메뉴에 Subversion이 나타나게 됩니다. 지금 당장은 import 한 소스가 하나도 없으니 browsing을 해도 아무런 소스도 보이지 않을 것입니다.
Code 메뉴에 나타난 Subversion
글이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 이번 글에서는 여기까지 다루고 Subversion Client 설치 및 소스 코드 import 는 다음 글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제 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제 글이 맘에 드신다면 좀 더 많은 분들이 읽을 수 있도록 아래 다음 블로거 뉴스에 추천 부탁드립니다.
제 글이 유익하셨다면 오른쪽 버튼을 눌러 제 블로그를 구독하세요. -> 블로그를 구독하는 방법을 잘 모르시는 분은 2. RSS 활용을 클릭하세요. RSS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1. RSS란 무엇인가를 클릭하세요.
이상계는 이쪽에 속해있지 않고 저쪽에 속해 있다. 이쪽에 사는 우리는 이쪽에 머무르지 않고 저쪽을 꿈꾸며 살아야 한다. 여기 오는 모든이들이 저쪽의 충만함을 이쪽에서의 매일의 삶에 경험할 수 있기를...
E-mail: (yesarang) at (yahoo.co.kr)
by 김윤수